채권단 공동협약 추진·여신 유지 보장
【투데이신문 양우혁 기자】금융위원회가 글로벌 공급 과잉과 경쟁력 약화로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업계 구조조정을 돕기 위해 채권금융사 공동협약을 추진, 기존 여신 유지를 포함한 전면 지원에 나선다. 다만 업계의 뼈를 깎는 자구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금융위는 2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5대 시중은행과 산업·기업·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석유화학 사업재편 간담회’를 열었다. 금융감독원,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무역보험공사, 자산관리공사도 함께했다. 이번 논의는 전날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와 ‘석유화학업계 사업재편 자율협약’ 체결에 이어 금융지원 원칙을 구체화하기 위한 자리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해주려는데 보따리부터 내놓으라 한다는 식의 볼멘소리가 업계에서 나온다”며 “선(先) 자구노력, 후(後) 지원 원칙은 흔들리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안이한 인식에 정부는 유감을 표한다”며 “자구노력과 채권단 협조가 질서 있게 진행돼야 이 문제를 슬기롭게 풀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금은 얼어붙은 강을 함께 건너야 하는 시기”라며 “줄을 묶고 같이 건너면 정부가 손을 잡아주겠지만, 홀로 나서면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고 비유했다. 이어 “석유화학은 기간산업이지만 더는 수술을 미룰 수 없다. ‘말뫼의 눈물’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금융위는 ▲철저한 자구노력 ▲고통분담 ▲신속한 실행을 구조조정의 3대 원칙으로 제시했다. 특히 금융권에는 “기업의 자구노력을 엄중히 평가하고, 타당한 사업재편 계획을 끌어낼 심판자이자 조력자가 돼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계획 확정 전 기존여신 회수 등 비 올 때 우산을 빼앗는 행동은 자제해달라”며 협력업체·지역경제·근로자들의 어려움에 대한 배려도 당부했다.
이날 금융권은 기업과 대주주의 책임이행을 전제로, 사업재편 계획이 타당하다고 판단되면 채권단 공동협약을 통해 지원한다는 데 공감대를 모았다. 기업이 금융지원을 신청할 경우 기존여신은 유지하되, 세부 지원 수준은 기업과 채권단 협의로 결정하기로 했다.
회의에서는 NICE신용평가가 ‘석유화학산업 현황과 이슈’를, BCG컨설팅이 ‘사업재편 방향’을 각각 발표하며 업계 진단과 개편 방안을 공유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중국發 공급 과잉에 중동 러시까지…“정부 주도로 위기 벗어나야”
좌우명: 유지경성(有志竟成)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