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VS증권사 ‘경영진 제재’ 치열한 공방

ⓒ투데이신문
ⓒ투데이신문

【투데이신문 이세미 기자】 라임자산운용의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관련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과 증권사들의 치열한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판매사의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제재 절차가 장기화 될 것으로 보인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오후 금감원은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의 전·현직 CEO를 대상으로 연 1차 제재심에서 결론 내리지 못했다. 제재심은 금감원 조사부서와 제재 대상자가 함께 나와 각자의 의견을 내는 대심제로 진행됐으며 시간 관계상 KB증권의 심의까지는 이뤄지지 못했다.

앞서 금감원은 신한금융투자 김형진·김병철 전 대표, 대신증권 나재철 전 대표(현 금융투자협회 회장), KB증권 윤경은 전 대표, KB증권 박정림 대표 등 5명에게 ‘직무 정지’를 염두 해 둔 중징계를 사전 통보한 상태다.

제재심에서는 경영진 제재를 놓고 금감원과 증권사 측의 치열한 공방이 펼쳐졌다. 이번 제재심은 부실한 내부통제의 책임을 물어 경영진까지 제재할 수 있느냐가 핵심 쟁점이다.

금감원은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는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과 시행령을 근거로 경영진 제재를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금감원은 앞서 대규모 원금 손실이 발생한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에서도 내부통제 부실을 근거로 우리·하나은행 경영진에게 중징계 처분을 내린 바 있다.

이번에도 금감원이 판매사를 대상으로 사전 통보한대로 중징계가 확정되면 해당 CEO는 3~5년간 금융권 취업이 제한된다.

그러나 증권사들은 이에 반발하며 법 조항이 ‘금융회사가 내부통제기준을 마련하라’는 의미이지 금융사고가 터졌을 때 경영진에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직접적인 근거는 아니라고 맞서고 있다.

현재 내부통제에 실패할 경우 금융사 CEO를 제재할 수 있게 한 지배구조법 개정안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3개 증권사 모두에 라임 사태가 적용되지만, 증권사별로 추가되는 사안도 있어 제재 수위가 다르게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잇따른다. 다음 제재심은 11월 5일에 열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