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시스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시스

【투데이신문 강서희 기자】  자산가격 상승으로 인해 MZ세대 내에서도 자산격차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회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부의 대물림을 방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1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전남 여수을)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0년 MZ세대(20~30대)가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1849만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년대비 2200만원 증가한 수치다.

전체 평균 자산은 늘었으나 MZ세대 내 자산격차는 확대됐다.

지난해 기준 MZ세대 내 자산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의 자산은 전년대비 64만원(2.6%) 늘어난 2473만원이다. 반면, 상위 20%인 자산 5분위의 평균 자산은 8억7044만원으로 전년대비 7031만원(8.8%) 증가했다.

이에 따라, 자산 5분위 배율은 2019년 33.21배에서 2020년 35.20배로 1.99배p 확대됐다.

5분위 배율은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하위 20%와 상위 20%의 격차를 비교해 산출하며 배수가 커질수록 불평등도가 악화됐다는 것을 뜻한다.

세대별로는 20대 가구가 30대 가구보다 자산격차가 컸다.

20대 가구들만 분석한 결과, 지난해 20대 가구들의 자산 5분위 배율은 38.92배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같은 20대이지만 하위 20%보다 상위 20%의 자산이 38.9배나 많았다.

이는 다른 MZ세대인 30대(23.82배)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20대 가구 하위 20%의 자산은 844만원, 상위 20%의 자산은 3억2855만원으로 나타났다.

하위 20%의 자산은 전년대비 115만원(-11.9%) 감소한 반면, 상위 20%의 자산은 817만원(2.5%) 늘었다.

이에 따라 20대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은 2019년 33.42배에서 2020년 38.92배(+5.5배 p)로 늘었다.

반대로 세대별 소득격차는 20대가 30대보다 더 작았다.

지난해 20대 가구의 자산 분위별 소득을 분석한 결과, 상위 20%의 자산을 가진 가구의 경상소득은 5262만원, 하위 20%의 경상소득은 2145만원이었다.

소득 5분위배율은 2.45배로 30대 소득 5분위배율 3.05배보다 낮은 수치다.

MZ세대 내에서도 20대 가구의 자산격차는 큰 반면, 소득격차는 작게 나타났다.

20대 가구의 자산격차가 ‘소득 차이’가 아닌 ‘부의 대물림’ 때문이라는 점이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지표로 해석된다.

김회재 의원은 “부모의 재력에 따라 출발점이 달라지는 기회의 불공정, 부의 대물림의 고리를 이제는 끊어야 할 때”라며 “우리 사회가 양극화 해소를 위해 머리를 맞대고 조속히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