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
김부겸 국무총리 ⓒ뉴시스

【투데이신문 한정욱 기자】 김부겸 국무총리는 코로나19 확진자의 투표와 관련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와 질병관리청(질병청) 등 관계 부처 의견을 받은 뒤 투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7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전혜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사전투표제도와 거소투표제도, 투표장에서 시간을 달리하는 방법 등 다 고려를 하면 우려하는 상황까지 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투표 직전 확진되신 분들은 과연 투표가 가능할 지 질병청,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필요하면 선관위의 의견을 받아 2월 15일 선거관계장관회의에서 최종 결정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치권은 내달 9일 대선을 앞두고 오미크론발 확진자가 폭증하자 코로나19 확진자 투표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여야는 20대 대선 사전투표(3월 4일~5일)와 본 투표(3월 9일) 사이에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유권자가 사실상 대선 투표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전략기획본부장인 강훈식 의원은 사전 투표 기간을 하루 더 연장해 3월 3일부터 사전 투표를 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도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 참정권은 어떤 상황에서도 유지돼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권 장관은 “중증화율과 사망률이 높았던 델타 변이의 확산 상황에서도 선거를 치른 바 있다”며 “오미크론 특성상 전파력이 강한 만큼 그에 맞게 참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질병관리청과 같이 방역 지침과 국민행동요령을 잘 협의·정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도 “(오미크론 변이는) 전염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면서 참정권을 지킬 수 있는 기술적인 대안들을 검토하고 있다”며 “재택치료자나 생활치료센터·병원 입소자들은 상황과 전염 시기가 다르기에 위험도는 줄이면서 참정권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최적의 방법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