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9~39세 청년 참여 가능…시범운영 뒤 개선
【투데이신문 김현정 기자】 내년 1월부터 중앙부처뿐 아니라 지자체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청년참여플랫폼이 시범 운영된다.
24일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신지호 청년정책조정위원회 민간 부위원장의 주재로 지난 22일 오후 서울 상암동 중소기업DMC타워에서 제8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가 열렸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청년DB (청년데이터베이스) 구축 운영계획’,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 보완 추진계획’, ‘2023년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운영 활성화 방안’ 등 3개의 안건이 논의됐다.
청년참여플랫폼인 청년데이터베이스는 내년 1월 중순에 정식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청년이 웹사이트에 직접 프로필을 등록하고, 정책담당자가 정책 참여에 적합한 청년을 직접 검색할 수 있는 매칭 플랫폼으로,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싶은 만19~39세 청년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중앙부처뿐 아니라 지자체 정책담당자도 정부위원회, 정책 모니터링단, 자문단, 정책 서포터즈 등에 다양한 곳에 청년을 참여시키기 위해 이 같은 청년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청년데이터베이스 활용 전 과정을 지원하는 관리하는 국무조정실은 서비스 정식 출시 전 시범운영을 통해 개선사항을 반영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지난 2020년 12월 수립한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추가적으로 보완하기로 했다. 기존 기본계획은 큰 틀에서 유지하되 윤석열 정부 120대 국정과제에 반영된 청년 관련 국정과제와 지난 10월 발표한 ‘청년정책 추진계획’ 등을 반영해 세부 과제를 추가 및 수정한다.
더불어 정부는 주요 청년정책에 대한 청년정책조정위원회의 조정 기능 강화와 민간위원 중심의 청년정책 의견수렴 기회 확대를 위해 ‘2023년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운영 활성화 방안’ 을 논의했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신지호 부위원장은 “청년DB는 우수한 업적을 쌓은 청년뿐 아니라 정책 활동 경험 등이 있는 일반 청년들도 누구나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 이라며 “국정 전반에 다양한 청년들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생각이 반영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서울시, 25개 전 자치구에 ‘청년취업사관학교’ 설립...2025년까지 완료 예정
- [지자체 청년정책⑬] 청년 떠나는 충북, 과학인재 육성으로 활기 찾을까
- 창원에서 꿈을 키우다…부영그룹 지원 창신대, 청년희망 토크 콘서트 열어
- [청년플러스포럼] 김성일 공동위원장 소개사 “글로벌 ESG 인스티튜트 선도하는 포럼 되겠다”
- [포토] 투데이신문, 2022 제2회 청년플러스포럼 ‘지속가능한 ESG분야 청년 인재 육성 방안’ 개최
- [청년플러스포럼] 제2회 청년플러스포럼 성료…‘지속가능한 ESG분야 청년 인재 육성방안’ 마련 머리 맞대
- [청년플러스포럼] 이영상 CJ올리브네트웍스 팀장 “직무 개발‧확장, 디지털 역량 확보가 필수”
- [청년플러스포럼] 이지영 현대차 정몽구 재단 대리 “사회혁신 꿈꾸는 인재 양성 목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