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수협은행, 억대 연봉자 지난해 총 ‘478명’
지난해 836억원 상환 목표, 실제 ‘350억원’ 그쳐
【투데이신문 이세미 기자】 수협중앙회가 8000억원대의 빚을 안고 있음에도 수년간 억대 연봉자를 꾸준히 양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공적자금 조기상환 계획과 달리 건전성 지표도 악화되고 있어 빚 상환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이 12일 수협중앙회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공적자금 상환계획 및 남은 공적자금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협은 공적자금 상환계획에 따라 2017년부터 현재까지 1조1581억원 중 3398억원을 상환했으며 오는 2028년까지 총 8183억원을 갚아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수협은 수협은행 배당을 통해 9712억원을 상환하고 미상환액 1869억원은 수산금융채권(수금채)을 발행하는 등 자구 노력으로 상환하기로 계획했다. 이는 총자산성장률 4%, 배당성향 70%를 가정했을 때 상환할 수 있는 금액이다.
수협은 2022년 말까지 어업인 지원 활성화 등 본연의 역할 이행을 위해 공적자금 조기상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올해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세법개정안에 따라 법인세 면제 혜택을 받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다만 수협이 조기상환 금액을 어디서 마련할 것인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NICE신용정보평가 기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수협은행은 고정이하여신비율이 0.5%로 다른 은행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의 건전성은 낮게 평가된다.
반면 수협은 상반기 전체로는 0.41%까지 하락했기 때문에 대출을 충분히 갚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김선교 의원 측은 이마저도 회수할 수 없는 매출채권을 비용으로 처리하는 대손충당금 적립과 비교했을 때 적은 수치라고 분석했다.
보통 수익 안정성을 평가할 때 대손충당금과 고정이하여신의 비율을 보는데 시중은행 대손충당금 평균은 149.9%인데 반해 수협은행은 134.2%다.
실제 자료를 보면 수협은 2018년까지 상환계획을 웃도는 금액을 갚아왔지만 2019년부터는 계획에 전혀 못 미치는 금액을 상환했다. 지난 2019년 818억원의 빚 상환을 계획했지만 501억원만 상환했으며, 2020년에는 836억원을 목표로 세웠지만 350억원을 갚는 데 그쳤다.
더 큰 문제는 수협과 수협은행의 억대 연봉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수협의 억대연봉자는 2016년 122명(9%)에서 2020년 231명(18%)으로 2배 가량 증가했다. 수협은행 역시 억대 연봉자가 2016년 183명으로 전체 10%에 불과했지만 2020년 478명으로 24.8%에 달했다.
이에 수협이 공적자금 상환 계획을 재검토하고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의원은 “수협이 공적자금의 조기상환을 외면하고, 내부 직원 배불리기에만 급급한 것으로 보여 매우 아쉽게 생각한다”라며, “공적자금의 신속한 상환을 위한 자금 확보 방안에 대해 국정감사장에서 낱낱이 따져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수협, 임직원 2명 중 1명 비리로 징계…대부분 ‘경고·주의’ 처분
- 수협, 경영난이라며 농어촌 상생기금 ‘쥐꼬리’…임직원 성과급은 ‘펑펑’
- 1~9월 혈액 적정 보유일수 10일 불과…혈액공급 ‘빨간불’
- 강은미 “섬진강 하류 염해 피해 심각…생태계 보호대책 시급”
- 강은미 의원, 근로복지공단 병원 노후 지적…“산재환자 점유율 지속 감소”
- 최근 5년간 불법 수입 의약품 696억원…고용진 의원 “관리감독 강화 필요”
- 수협 직원, 회삿돈 빼돌려 ‘게임 아이템’ 구매…어민 면세유 등 30억원 횡령
- ‘성폭력 사건 최다’ 서울경찰, 피해자 가명조서 작성 저조…“피해자 보호제도 적극 활용돼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