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대기업을 포함한 일부 제과업체의 식품에서 곰팡이·벌레는 물론 금속 등의 이물질 검출이 늘면서 식품 위생 관리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식품 이물 신고 건수가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특히 대기업을 포함한 일부 제조업체의 이물 혼입이 반복되고 있다.
김 의원은 “전체 이물 혼입 중 2회 이상 반복 혼입 비율이 2019년 27%(469건 중 126건), 2020년 41%(548건 중 224건)를 차지했다”며 “이를 업체 수로 따져보면 지난 2년간 이물 혼입 760개 업체 중 93개 업체에서 2회 이상 반복 혼입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실제로 자료를 살펴보면 반복적인 이물 혼입 업체 중에서 한해 53회(놀부명과)의 이물이 혼입된 사례도 확인됐다.
연도별 이물 검출 반복 업체는 2018년 농심 2회, 파리크라상 2회, 2019년 오리온 2회, 코스트코코리아 6회, 동아오츠카 2회, 오뚜기 2회, SPC삼립 4회, 2020년 파리크라상 2회, 동아오츠카 2회, SPC삼립 11회 등이었다.
김 의원은 “식약처는 연 2회 이상 이물이 검출된 업체는 특별관리업소로 지정해 정기적인 위생검사를 하고 있고, 5회 이상은 별도 관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면서도 “매년 다수의 업체에서 이물 검출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은 허술한 관리·감독에 그 원인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선제적 예방을 위한 실질적 먹거리 안전관리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롯데제과, 와플 과자서 애벌레 나와…사측 “유통과정 혼입 추정”
- ‘카스라이트’ 캔 뚜껑 여니 코팅제 가루가 풍덩…유해성 없으니 괜찮다?
- 치킨‧햄버거 프랜차이즈 식품위생법 위반 3년간 816건…맘스터치 최다
- 산재사고 업체 국가계약금액 4년간 3700억원…장혜영 “시정 필요”
- 코레일 철도역사 매장 13곳 식품위생법 위반…소병훈 의원 “안전한 먹거리 제공해야”
- 1~9월 혈액 적정 보유일수 10일 불과…혈액공급 ‘빨간불’
- 강은미 “섬진강 하류 염해 피해 심각…생태계 보호대책 시급”
- 강은미 의원, 근로복지공단 병원 노후 지적…“산재환자 점유율 지속 감소”
- 최근 5년간 불법 수입 의약품 696억원…고용진 의원 “관리감독 강화 필요”
- ‘성폭력 사건 최다’ 서울경찰, 피해자 가명조서 작성 저조…“피해자 보호제도 적극 활용돼야”
- 식품 사용 불가 ‘말벌·불개미’로 술·꿀절임을?…식약처, 제조·판매 업체 5곳 적발
주요기획: 김효인기자의 내맘대로 레트로 시리즈, 물티슈의 배신 시리즈, 젠더 이코노미 시리즈
좌우명: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