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강서희 기자】 정의당 강은미 의원(환경노동위원회, 예산결산위원회)은 광주 서구 주상복합아파트 신축 현장 붕괴 참사로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 정몽규 회장 사퇴는 당연한 것이며, 책임부터 분명하게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은미 의원은 17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정몽규 HDC현대산업개발그룹 회장의 무책임한 사퇴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강은미 의원은 “정 회장의 사퇴는 당연한 것이다. 중대재해에 대한 경영책임자의 책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사퇴는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고를 수습한 뒤에 하는 것이 순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 회장이 지금 이 시점에 사퇴한다는 것은 사고의 책임으로부터 도망가겠다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자신은 현 상황에서 빠지고 모든 것을 부하 직원에게 전가하는 것은 비겁하다”고 비난했다.
강 의원은 “더욱이 정 회장은 ‘대주주의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이라고 본인이 직접 말했듯이, HDC그룹의 회장이자 현산의 최대주주로서 시간이 흐르면 언제든지 그룹 복귀는 물론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다. 사퇴는 ‘단순 면피용’에 불과하다”며 강력 비판했다.
강 의원은 “HDC현대산업개발은 환골탈태가 아니라 ‘영구퇴출’이 답이다. 건설업을 앞으로 더 열심히 하겠다는 안하무인격 기자회견에 분노한다. 광주에서만 연달아 두 건의 참사가 발생한 것은 HDC현대산업개발이 안전이 아니라 이윤추구를 최우선 가치로 두었기 때문”이라며 “정 회장은 ‘한순간에 물거품이 됐다’는 개인적 푸념을 할 것이 아니라, 연이은 붕괴 참사의 원인이 안전 의무를 등한시한 회사의 잘못이었다는 사실부터 인정해야 옳다”고 일갈했다.
특히 “HDC현대산업개발의 실질적 경영책임자인 정 회장은 도망치기 이전에 연이은 붕괴 참사의 원인을 솔직히 밝히고 법적 책임부터 지길 바란다”며 “학동참사 때 현장소장, 포크레인 기사, 감리 등 하청 업체와 실무자만 구속 처벌받고 정작 발주처인 원청 현산은 책임 지지 않았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참사에 대해 무한 책임을 져야 하고, 모든 공사에서 손 떼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강 의원은 “반복되는 참사임에도 불구하고 사퇴 후 책임을 회피한다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HDC현대산업개발과 같이 기업의 이익 추구로 안전 따위는 신경도 쓰지 않고, 사고 후에는 책임 없이 도망가버리는 현 상황을 개선할 수 있도록 조만간 중대재해법 개정으로 입장을 내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정몽규 회장 “책임 통감…HDC현산 회장서 물러나겠다”
- 광주 아파트 붕괴 사고, 시공사 HDC현산 비판여론 고조
- ‘붕괴 참사’ HDC현산, 정몽규 회장 고개 숙였다만…관리부실 의혹에 책임론 솔솔
- HDC현산 “일방적 아시아나 인수계약 해제 통지 유감”…법적대응 예고
- 금호산업, HDC현산 대면협상 역제안 수락…“생산적 논의 기대”
- 금호산업, HDC현산에 “이제 좀 만나자”…아시아나 매각 대면협상 촉구
- LH, ‘성남산단재생 리츠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HDC현산컨소시엄 선정
- 아시아나 채권단 “현산, 진정성 의문...협상 직접 나서라”
- 송석준 의원 “부동산 산업의 미래 프롭테크 역할과 가치에 대한 사회적 논의 필요”
- 인권위 “5인 미만 사업장 중대재해법 절실…법 적용 예외 없어야”
- 중대재해처벌법 본격화에 긴장감 고조…안전관리 강화 나선 재계
- 광주지역 시민단체들 “서울시, HDC현산에 가장 강력한 행정처분 내려야”
- [인터뷰] 학동화정동참사시민대책위 문정은 “HDC현산, 안전 못 지키는 무능력 드러나…정몽규 구속수사가 기본”
- ‘오비이락’ HDC 정몽규 회장, 사고 수습보다 그룹 승계작업 챙기기 의혹
-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참사 희생자들 48일만에 영면
- HDC현산, APG 주주제안 수용 결정...‘권고적 주주제안권 도입’은 제외
- HDC현산 시공 현장 12곳서 안전보건 위반 636건 적발
- “HDC현산, 지나친 수익 위주 경영 제어하도록 지배구조 개선돼야”
